Bilibili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Bilibili Gaming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Bilibili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2024 시즌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빌리빌리 게이밍
Bilibili Gaming
창단2017년 12월 17일
소속 리그LPL
팀명Bilibili Gaming(2017.12~2020.12)
Bilibili Gaming Pingan Bank(2020.12~2024.1)
Bilibili Gaming(2024.1~)
모기업빌리빌리
매니저후린

Holy
리더장신위

YUZZ
감독[[푸천웨이|푸천웨이

BigWei
]]
코치[[천룽(프로게임단 코치)|천룽

Xiasu
]]
분석좡이빈

zyb
주장
약칭BLG
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LPL
(1회)
2024 스프링
Demacia Cup
(2회)
2022, 2023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중국 국기.svg [[천쩌빈|천쩌빈

Bi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중국 국기.svg [[펑리쉰|펑리쉰

Xu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중국 국기.svg [[줘딩|줘딩

knigh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중국 국기.svg [[자오자하오|자오자하오

Elk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중국 국기.svg [[러원쥔|러원쥔

ON
]]
파일:중국 국기.svg [[쭤밍하오|쭤밍하오

LvMao
]]
팀 컬러
[ 펼치기 · 접기 ]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 심플.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league-of-legends.png'''[[Bilibili Gaming Pingan Bank|{{{#37D0F5,#1d5bfb Bilibili Gaming
Bilibili Gaming Junior}}}]]'''
파일:오버워치 아이콘 화이트.svgBilibili Gaming


1. 개요
2. 상세
3. 주요 경력
4. 역사 및 역대 시즌
6. Bilibili Gaming Junior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Bilibili Gaming 소속 중국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BLG.

2. 상세[편집]


빌리빌리의 스폰을 받아 창단된 초기만 해도 전신인 I May의 팀컬러를 이어받아 약한 라인전, 우수한 팀합과 운영이라는 기조를 이어갔다.[1] 하지만 쿠로를 내보내고 머니게임을 시전한 20년부터는 그냥 쑤닝을 대신하는 LPL의 새로운 수퍼마켓팀. 들어오는 선수는 폼이 떨어지고 나간 선수는 새 팀을 캐리하는 무서운 팀이다. 중고신인 급인 웨이웨이와 제카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그 웨이웨이도 결국 다음 해에 망했다. 무 섭 다! 일명 롤판의 커리어 분쇄기, 항저우 지하감옥이라는 멸칭으로도 불린다.[2] 롤드컵 준우승 미드인 쿠로와 롤드컵 우승 서포터인 크리스프를 제외하고 이 팀에서 꾸준히 잘해준 선수는 없다. 아무리 장단점이 뚜렷했다지만 LPL 우승, MSI 우승, 롤드컵 준우승 탑솔러 도 입단 그 순간 폭망했을 정도다.

하지만 반대로 2020년 BLG를 말아먹고 2021년 RA에서 만개했다가 돌아오자마자 다시 폼이 떡락했다가 2023년 다시 EDG로 가서 부활한 포포, 역시 20 BLG에서 부진했지만 21 스프링 DRX의 에이스로 활약하고 이후 하락세에도 22 롤드컵 결승에서 부활해 우승을 차지한 킹겐, 21 스프링 BLG에서 바닥을 치고 22 TES에서 2연 준우승으로 커리어가 만개한 마크, 2021년 애국원딜로 명성을 날렸지만 2022 서머 LCK 올프로 써드팀에 입성한 에이밍, 2021 서머에 황포강이라는 대단한 별명을 획득했지만 2022년 V5에서 커리어가 크게 반등한 피피갓, 2021 스프링에 일명 김씨삼부자애매했다가 2021 서머에 잘했지만 BLG를 나가서는 아예 쇼메이커와 쵸비를 잇는 LCK 차세대 미드로 만개해버리며 팀의 기적같은 롤드컵 우승의 일등공신이 된 제카, 2022 스프링 BLG에서 커리어 최악의 시즌을 보냈지만 2022 서머에 자신이 주도해서 팀의 롤드컵 진출과 8강 진출을 이끌어낸 브리드 등 BLG에서 깎인 가치로도 재취업을 할 수만 있다면 높은 확률로 탈쥐효과를 보장하는 팀이기도 하다.[3] 뭐 BLG에 안 왔으면 더 잘 풀렸을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도 않은 재미있는 팀. 결국 2022 롤드컵에서 12 TPA를 능가하는 롤드컵 역사상 기적으로 불리는 DRX의 업셋 우승에 제카와 킹겐이 주역으로 등극하면서 플랑드레, 소프엠을 배출한 LNG를 뛰어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주카이가 함께 출동한다면 어떨까?

하지만 2023 시즌부터는 마침내 머니게임이 효과를 보면서 당당한 강팀으로 부상했으며, 또다른 LCK 킬러로써 부각을 드러내고 있다.

3. 주요 경력[편집]


우승 경력
2022 Demacia Cup 우승
2023 Demacia Cup 우승
Top EsportsBilibili Gaming Pingan Bank미정
2024 LoL Pro League Spring 우승
JDG Intel Esports ClubBilibili Gaming미정
준우승 경력
2018 Demacia Cup Summer 준우승
Snake EsportsBilibili GamingTopsports Gaming
NEST 2019 준우승
Topsports GamingBilibili GamingRogue Warriors
2022 Weibo Cup 준우승
대회 출범Bilibili Gaming Pingan Bank미정
2023 LoL Pro League Spring 준우승
Top EsportsBilibili Gaming Pingan BankLNG Esports
2023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2024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T1Bilibili Gaming Pingan Bank
Bilibili Gaming
미정

4. 역사 및 역대 시즌[편집]


파일:Bilibili_Gaming.png파일:Bilibiligaming.png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ilibili GamingBilibili Gaming - Bilibili Gaming Pingan BankBilibili Gaming Pingan Bank - Bilibili Gaming
빌리빌리 게이밍빌리빌리 게이밍 - 빌리빌리 게이밍 핑안은행빌리빌리 게이밍 핑안은행 - 빌리빌리 게이밍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33%"2021{{{#!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33%"2023{{{#!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33%"
2024


5. 멤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Bilibili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멤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Bilibili Gaming Junior[편집]


}}} ||




파일:Bilibili_Gaming_Junior_logo_square.png
빌리빌리 게이밍 주니어
Bilibili Gaming Junior
창단2019년 2월 4일
소속 리그LDL
모기업파일:빌리빌리 로고.svg
매니저유장신

ycx
리더팡페이시

Fracture
감독류이류

616
코치잔신

Hunter
약칭BLGJ
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우승 기록
LDL
(1회)
2022 스프링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중국 국기.svg 장주오야

lamb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중국 국기.svg 뤄쥔하오

Junhao
파일:중국 국기.svg 시자준

luoyiyu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중국 국기.svg 후웨이량

Aherusi
파일:중국 국기.svg 류위쉬안

Yxl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중국 국기.svg [[류원쉐|류원쉐

Baiye
]]
파일:중국 국기.svg 장원지안

Later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중국 국기.svg 샤징야오

Xiaoxia
팀 컬러
[ 펼치기 · 접기 ]

우승 기록
2022 LDL Spring 우승
Rare Atom PeriodBilibili Gaming JuniorFunPlus Blaze
준우승 기록
2019 LDL Spring 준우승
Unlimited PotentialBilibili Gaming JuniorEDG Youth Team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Bilibili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멤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둘러보기[편집]


}}} ||




[1] 존끄, 애로우의 하위호환에 가까운 원딜러인 진쟈오의 성향 문제를 무시할 수 없었다. 수비형 미드인 아테나와도, 서포팅형 미드인 쿠로와도 동일한 경기력을 뽑아낸 것은 대체…[2] 중국 롤팬들은 슈퍼팀을 '은하전함'이라는 명칭으로 부르는 밈이 있는데 한국 롤팬들에게도 이게 알려져서 한국에선 '은하전함'이 일종의 멸칭이 되어버렸다.[3] 굳이 2022년 BLG로 돌아와 도로 폭망한 포포를 필두로 롤드컵 역적이 된 마크나 롤드컵 선발전 역적이 된 에이밍, 역시나 롤드컵에 가지 못한 피피갓이나 팀에 다소 고통받는 브리드 등 이 팀을 거쳐간 선수들이 아예 확고한 월드클래스라는 것은 아니지만, BLG 시절에 비하면 말도 안되게 잘 풀리는 것은 다들 비슷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1 15:36:10에 나무위키 Bilibili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